유사 언론으로 인한 폐해 어디까지 갈 것인가
유사 언론으로 인한 폐해 어디까지 갈 것인가
  • 영광21
  • 승인 2015.09.11 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털과 제휴한 유사언론의 횡포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포털 검색창 노출을 무기로 갖가지 과장·왜곡된 기사들을 쏟아내며 광고협찬이나 돈을 뜯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광고관련 단체와 학회까지 나서서 한목소리로 강력단속과 관련법 제정을 호소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언론사를 흉내내며 이런 공갈행위를 일삼는 유사언론들의 폐해는 수년전부터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들의 무기는 바로 대형포털 검색을 통한 기사 노출이다. 표적이 된 해당 기업들의 약점과 관련된 기사는 포털을 통해 대중들에게 여과없이 전달된다. 선정적인 제목을 단 짜깁기 기사들이 기업들을 위협하고 뉴스 소비자들의 눈과 귀를 흐리게 만든다.

이런 말기적 횡포는 대형포털들의 무분별한 뉴스 제휴확대에서 비롯됐다고 광고계는 보고 있다. 네이버의 경우 지난 3년 사이 검색 제휴를 맺은 매체가 2배 가까이 늘어 450여개사에 이르렀다.
이런 환경에서 인터넷 언론사는 지난 1년 사이 1,000개가 늘어 무려 6,000여개에 이르고 있다.
광고 시장을 교란시키는 유사 언론행위는 광고업계의 선순환적 성장을 가로막는 것은 물론 언론과 미디어업계 전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아울러 네이버나 다음카카오 등 대형 포털들도 유사언론의 숙주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포털 개혁에 대한 외부의 압박을 스스로 불러들일 수도 있는 것이다.
포털뉴스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다. 포털이 뉴스 제휴로 얻은 이익은 국민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때 정당성을 얻는다. 유사언론들에 휘둘리며 잘못된 영향력을 행사하는 통로가 될 수는 없다. 포털들의 개선 노력과 함께 사이비 언론을 몰아낼 제도적 법제화가 시급하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제목을 달아 독자의 클릭수를 높여 광고효과를 노리는 데에만 관심을 가지는가 하면 가십성 기사나 근거없는 기사를 올려 언론의 품격을 떨어뜨리고 이념에 매몰돼 편파적인 주장으로 사회적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언론계가 또 뜨겁다. 정부의 소위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때문이다. 이제까지 있었던 기자실 운영방식을 바꾼다는 것이다. 정부 각 부처별로 있었던 기자실(브리핑룸)들을 통폐합해서 3개의 통합브리핑센터를 운영하고 대신 전자브리핑 등 정보제공을 강화하겠다고 한다.
비판이 거세지니 각계에 설명하고 의견을 듣겠다고 하는데 국무회의 의결 이전에 그 절차가 이뤄질 수는 없었던 것인가 의문이다. 국정홍보처장은 보안상의 이유도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보안의 문제인지는 모르나 안이 완성되고 나서는 의견수렴을 하는 것이 민주적 절차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정부가 취할 정당한 절차는 국무회의를 통과시켰다는 형식적 절차를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방안은 정부의 1차방안이며 지금부터 민주적 절차를 위해 이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를 밟겠다고 한 발 물러서는 것이다.
최소한 기자실 개혁의 취지에 동의하는 사람들이라도 받아들일 수 있는 대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 않겠는가.
이 방안을 접하면서 사실 서글픔이 앞선다. 기자실 폐지는 오랫동안 언론계의 주요한 개혁과제였다. 그래서 일부 문제점이 있음에도 이 정부가 기자실을 폐지하고 브리핑룸으로 전환하겠다고 했을때 시민언론운동단체, 언론 현업단체들이 환영을 한 것이다. 일부 보수언론이 비판언론 죽이기라고 했을 때 다른 언론들이 나서 변호하기도 했다. 과거 기자실의 폐해를 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