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특별법 제정 1주년, 다시 찾은 여순 사적지
여순특별법 제정 1주년, 다시 찾은 여순 사적지
  • 영광21
  • 승인 2022.08.25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수·순천은 아직도 많이 아프다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여순사건 특별법)이 제정된 지 1년이 지났다. 특별법 제정 이후 여순사건의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발걸음도 뗐다.
희생자는 모두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들이다. 민간인이든, 군인이나 경찰이든 신분이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희생자와 그 가족들은 그동안 국가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했다. 보호는커녕 유린을 당하고도 마음 놓고 아픔을 드러내지도 못했다. 빨갱이로 손가락질을 받으면서 슬픔을 속으로 달래야 했다. 정확한 피해 조사와 함께 진실 규명, 명예 회복이 시급한 이유다.
 

이제라도 형제처럼 지내라, 형제묘와 위령비
여순사건은 제주 4·3에 대한 진압 출동명령을 거부한 데서 시작됐다. 여수는 당시 사건의 중심지였다. 1948년 10월19일 밤 14연대 군인들이 제주 출동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봉기를 했다. 동족 살상 거부, 미군 철수를 주장했다. 그때 14연대 주둔지가 여수시 신월동, 지금의 한화 여수공장 자리다.
여수시내는 전역이 비극의 현장이었다. 봉기군을 몰아낸 10월27일부터 진압군과 경찰은 시민들을 가까운 운동장으로 모이게 했다. 강제 집결지는 서국민학교와 동국민학교, 종산국민학교(현재 중앙초등학교) 그리고 미평동과 국동의 넓은 공터 등이었다.
진압군과 경찰은 봉기군 협력자를 찾아내기 시작했다. 일본식 운동화를 신고 있거나 총을 쥔 흔적이 있는 사람, 군용 옷을 입고 있거나 머리를 짧게 깎은 사람 등 외모 위주로 분류해 총살했다. 개인적인 감정에 의한 중상모략이나 고발에 따라 동조자로 분류된 사람도 많았다.
중앙동 로터리광장은 봉기군의 인민대회장으로 활용됐다. 과거 친일을 한 천일고무공장 설립자 김영준과 우익인사들이 여기에서 사형당했다. 진압군의 세상에선, 그때 인민재판에 나갔다는 이유만으로 많은 민간인이 처형됐다.
종산국민학교도 대표적인 학살지다. 당시 김종원이 이끈 5연대가 경찰과 함께 이 학교에 주둔했다. 진압군이 좌익에 협조한 사람들을 찾아내 죽였다.
집단 학살은 만성리 해안가, 마래터널 부근에서도 자행됐다. 시내에서 마래터널로 연결되는 만성리에는 종산국민학교에서 끌려온 수백 명을 학살하고 골짜기에 던져 흙과 모래, 돌을 덮어 암매장했다.
그 자리에 여순사건 희생자 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비문 뒤쪽에 점 여섯 개만 찍혀 있다. 여순사건에 대한 군경과 민간인 희생자 사이의 의견이 엇갈려 위령비의 이름과 설명문, 추모시를 새기지 못했다. 비신 앞에는 ‘여순사건 희생자 위령비’라고 새겨져 있다. 뒷면은 위쪽에 ‘1948년 10월 19일’, 중간에 ‘……’, 아래쪽에는 비석을 세운 날짜 ‘2009년 10월 19일’이라고만 새겼다.
형제묘도 있다. 시신을 찾을 길 없던 유족들이 같은 날, 같은 시간, 같은 자리에서 죽은 사람들끼리 이제라도 형제처럼 지내라고 만들었다.
오동도에는 여순사건 기념관이 만들어져 있다. 여순사건의 전개 과정과 피해 상황 등을 알아볼 수 있다. 당시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 영상도 볼 수 있다. 압권은 ‘손가락총’ 조형물이다.

 

 

제대로 알고 기억해야 같은 일 되풀이 안돼
순천에는 팔마체육관에 ‘여순항쟁탑’이 있다. 항쟁탑은 위아래로 갈라진 돌의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좌우 대립과 국토 분단을 상징하고 있다. 위로 뻗은 여러 형상의 돌은 희생자의 넋과 통일 의지를 나타낸다.
순천역, 장대다리, 순천대학교도 여순사건 사적지다. 순천역은 여수의 봉기군이 열차를 타고 진출한 첫번째 거점이었다. 나중엔 진압군이 협력자를 색출한다며 임시 감금실로 썼다.
장대다리(순천교, 동천 제방)는 봉기군과 경찰이 처음으로 싸웠던 곳이다. 옛 순천경찰서는 봉기군이 경찰과 우익을 처형하고, 경찰이 좌익과 협력자를 찾아내 죽인 곳이다. 당시 순천농림중학교(현 순천대학교)는 진압군의 주둔지로 많은 시민을 잡아다가 고문하고 학살했던 곳이다.
도올 김용옥이 자신의 책에 소개한 ‘추석이 없는 마을’도 순천에 있다. 낙안면 신전마을이다. 1949년 추석 이튿날 밤에 들이닥친 진압군이 당시 빨치산 연락책이었던 14살 소년 문홍주의 ‘손가락총’이 가리킨 주민들을 한집에 몰아넣었다. 집밖에서 총을 난사하고, 마을도 통째 불질러 버렸다.
처형과 학살의 이유는 다양했다. 군경 또는 군경의 가족이라고, 봉기군에 비협조적이라고, 14연대나 빨치산에 가담하거나 협조했다고, 14연대 군인 가족과 좌익의 가족이라고 죽임을 당했다. 마을사람들 사이의 원한에 의한 무고, 보복성 고발 등으로 희생된 사람도 헤아릴 수 없었다.
‘역사는 과거를 기억하는 만큼 발전한다’고 했다. 과거를 기억하고 아픔을 말하는 것은,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고 다짐이다. 그날의 이야기를 들춰내서 우리가 제대로 알고, 기억해야 하고, 아픔도 치유해야 한다.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 전남새뜸